화장장 비용 할인 받고 절약할 수 있는 방법
장례 비용은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경우가 많아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될 수 있죠.
많은 분들이 장례식장에서만 장례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이전 글에서도 썼지만 장레 비용에는 크게 장례식장비용+상조비용+장지비용 이렇게 세가지로 나뉩니다.
이중 오늘은 장지 비용을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려 합니다.
최근에는 매장보다 화장을 선호하는 장례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습니다.
화장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지만, 관련 시설은 부족하다보니 화장장 때문에 4일장을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화장장 비용도 장례 비용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는데요.
오늘 포스팅을 통해 화장장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화장시설 이용료
2. 화장장 비용 절약방법
3. 화장장 예약
1. 화장시설 이용료는 얼마인가요?
공통적으로 이용료는 관내, 관외 이용자로 구분하여 지불하고 있으며,
관내와 관외 이용료의 차이는 최소 2배에서 최대 7배 이상도 차이가 납니다.
보건복지부 장사정보시스템에 등록된 전국 화장시설은 총 62곳이며, 이중 1곳을 제외한 61곳은 공설입니다.
2. 화장시설 이용료 절약하는 방법
화장 시설을 가장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거주지 관내 화장 시설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무조건 관내 화장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닌데요.
만약 관외 시설을 이용해야 한다면 어떻게 절약할 수 있을까요?
1) 장지 이동 중 저렴한 지역 이용
보통은 관내에서 화장과 장지를 동시에 해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선산 혹은 국가유공자 장례 등 다양한 이유로 거리가 먼 장지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근처에 화장 시설이 없어 관외 지역 시설을 이용한다고 하면
100만원의 관외 이용료를 지불해야 할 수도 있는데요.
이보다 절반 가격인 50만원으로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지역도 있습니다.
따라서 장례식장과 장지 거리가 먼 경우라면 지역 관외 이용료를 알아보고,
보다 저렴한 고셍서 이용하시는 것이 장례 비용을 절약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2) 화장장려금 지원 제도
나라에서 실시하는 장례 지원 제도 중에는 화장장려금 지원 제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매장지 부족으로 인한 화장 장려와 함께 국민의 경제적 부담감을 덜어주기 위해 시민들에게 관외 화장시설 이용료 감면을 위하여 지원금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신청방법
기본적으로 화장 장려금을 받으려는 연고자가 사망신고 후 정해진 기간 내로 해당 읍, 면으로 신청서 및 구비 서류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주의사항
지역별로 사망신고 후 신청날짜가 다르기에 정확히 확인해서 기간 내에 신청하셔야 합니다.
※TIP. 국가유공자는 장례 혜택으로 화장장 이용료가 무료이기 때문에 따로 신청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지원금 내용은 각 지자체 별로 지급 대상과 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거주지 지자체에 확인을 꼭 하셔야 합니다.
3. 화장장 예약
전국 화장장 시간은 보통 아침 7시부터 시작해서 오후 3시쯤 마지막 회차가 종료되는데요.
3시 이후에는 개장 유골 화장을 진행하다 보니 오전에 일반 화장이 몰리게 됩니다.
화장장은 유족들의 편의를 위해 빠르면 새벽 6시부터 예약할 수 있지만,
근처의 화장장이 아닌 거리가 먼 화장장으로 간다면 새벽 5시에 출발해야 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화장장 예약 시간으로부터 2시간 전에 발인을 진행하곤 하는데요.
따라서 발인 전 화장장 예약을 해야 하며(장례 접수와 동시에 해야 문제가 생기기 않습니다),
화장장으로 이동하시기 전에 사망진단서는 꼭 챙기셔야 합니다.
평일에는 화장 신고가 동주민센터 및 화장장에서 가능하지만,
주말 및 공휴일에는 화장장에서만 가능하다는 점도 참고해주세요.
※TIP. 국가유공자의 경우에는
국가유공자의 경우 화장장 감면 혜택을 위해 일부 필요 서류가 필요합니다.
이때 선불로 지급하고 후에 혜택을 받는 방법도 있는데요.
만약 이 방법이 번거로우시다면 e하늘장사정보시스템에 접속하여
화장 예약 시 개인정보 열람 사전동의를 하시면 사망진단서만 내도 감면이 가능합니다.
'정보 > 장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 기일 계산부터 제사 지내는 법까지 총 정리 (0) | 2024.07.25 |
---|---|
장례식장 상주에게 해서는 안 되는 말 (0) | 2024.07.19 |
조의금 부의금 봉투쓰는법 총정리 (1) | 2024.07.03 |
장례식장 흰양말 신어도 될까 상가집 복장 총정리 (0) | 2024.06.27 |
부모님 장례식, 딸인 내가 상주를 할 수 없다고? (1) | 2024.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