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30

장례 도우미의 역할 안녕하세요! 보훈상조입니다^^ 장례식장에 가시면 장례 도우미분들은 꼭 계시는데요  도우미분이 꼭 필요한 부분인건지  가족들이 많아 필요없고 직접 챙길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을 거라 생각이 듭니다. 장례식장 도우미분들은 어떤 역할을 하시는지 같이 보시겠습니다 !      겉으로 보기엔 장례 도우미분들은 음식 서빙만 하는 걸로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뒤에 숨어진 일들이 많습니다 장례 도우미분들이 하시는 일은 어떻게 될까요 ?      빈소마련 음식을 준비 음식 서빙 접객 음식양 조절  유가족 챙기기     이렇게 빈소내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다 해결해주시고 도움을 주신답니다.    저기서 음식양 조절은 어떤걸까요 ?   단순히 음식양을 조절한다는 말이 아닙니다.  음식은 장례식장에서 제공.. 2024. 10. 16.
장례용어, 장례시설 용어 언젠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보훈상조입니다! 오늘은 생소할 수 있는 장례 용어를 알아보는 시간이 되겠습니다. 장례용어는 알아두면 언젠가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장례 용어 정보를 함께 보실게요!       사망진단서: 의사가 사람의 사망을 의학적으로 증명할 때에 작성하는 문서   ​사체검안서: 의사의 치료를 받지 않고 사망한 사체를 살펴서 의사가 사인(死因)을 의학적으로 검증(검안) 하여 사망을 확인하는 증명서   ​임종: 운명하는 것을 곁에서 지켜보는 것  ​안치: 시신의 부패와 세균 번식 등을 막기 위해 시신 보관용 냉장시설에 시신을 모시는 것을 말한다.  ​장례: 죽음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행해지는 일련의 행위를 말합니다.  ​장사: 시신을 화장하거나 매장하는 등 시신을 처리하는 일련의 행위  ​고인: 장례를 진행하는 .. 2024. 9. 26.
49재 계산하는 방법 49재 계산하는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그 전에 49재의 의미는 어떻게 될까요?   49재 의미  49재는 고인의 혼을 극락으로 인도한다는 의미로  49일동안 기도하고 49일 째에 제사를 지내는 불교식 장례 예법입니다.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은 후 49일 동안 영혼이 이승과 저승의 경계에서 머문다고 생각하여그 기간 동안 고인이 좋은 곳으로 갈 수 있도록 기원하는 의식으로 49재를 지냈습니다.  49재 어떻게 계산할까 49일 중 첫 7일째 되는 날은 초재, 그 다음 7일째 되는 날은 2재라 부르며, 이렇게 3~6재가 지난 후 마지막 7일째는 칠재라고 부릅니다. 고인이 돌아가시는 날은 첫째날로 하여 49재를 계산합니다.돌아가신날을 1일으로 포함하여 계산합니다.    49재 시간과 제사 방법  49재 제사의 경.. 2024. 9. 23.
임종 전에 장례준비를 한다면 임종 전 장례준비는 어떻게?  오늘은 임종이라는 무거울 수 있는 주제를 들고왔습니다.소중한 분들과 이별을 마주하는것은 어렵습니다.하지만 마지막 가는 길 잘 보내드리기 위해서는 임종하시기 전 미리 준비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임종이란 어떤 뜻인지 부터 보고 가겠습니다!    임종이란    임종은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을 뜻하며,사람이 죽기 직전 함께 곁을 지켜주며 숨이 끊어지는 순간 함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임종 전 준비해야하는 것은?   1. 장례식장 선정 장례상담미리 거주하는 지역을 기준으로 비용에 맞춰서 상담을 받아보시고 결정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2. 영정사진 준비임종 전 준비를 하실 때 얼굴이 선명하게 찍힌 사진을 위주로 고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3. 장지선정장지는 장례가 다.. 2024.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