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장례

보훈 QnA | 장례식장 빈소 이용료, 왜 이렇게 비싼가요?

by 보훈지기 2024. 5. 8.

 

장례는 보통 3일장으로 많이 치릅니다.

 

그리고 마지막 3일째, 발인을 하는 날

우리는 장례식장 비용을 치르곤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잠깐.

 

장례식장 비용이 어떻게 계산 되었는지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시설 이용료 책정, 시간? 일수?

 

장례식 기간은 3일이지만,

시간으로는 72시간이 아닌 32시간입니다.

 

첫째날은 고인의 빈소를 차리는 날입니다.

10시에 차려도, 오전 10시에 차려도 그 날이 첫째날입니다.

 

둘째날은 대부분의 조문객이 방문하는 날입니다.

하루 24시간 꼬박 손님을 맞이하곤 합니다.

 

셋째날은 아침 일찍 고인을 장지(묘지 또는 봉안당)로 모시고 장례식을 마무리 합니다.

보통 8~10시 전에 출발하며, 빠르면 새벽 5시에도 진행합니다.

 

이런 경우 실질적으로 첫째날 2시간,

둘째날 24시간, 그리고 셋째날 8시간으로

32시간만 장례식장을 이용한 것입니다.

 

장례식장 이용료는 시간 당 책정하는 곳도 있고,

3일 당 책정하는 곳도 있습니다.

 

보통 시간 당 요금은 사용한 시간만 청구하고,

3일 당 요금은 할인을 제시하곤 합니다.

결국 최종 금액은 비슷하기 때문에 큰 차이는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빈소 이용료 어떤 걸 포함하고 있을까?

 

빈소 이용료에 포함되는 항목 중 대표적인 것을 뽑으라면

조문객 응대와 관련된 것들인데요.

 

조문객을 맞이하는 공간과 조문객에게 드릴 음식값,

그리고 조문객 응대를 위한 인력 비용까지.

 

장례식장 비용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것이 조문객 음식값인만큼

빈소를 사용하면 이런 비용들이 함께 든다는 것도 체크해주시면

미리 비용을 계산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생각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는데요.

바로 고인의 시신을 보관하는 비용입니다.

 

시신의 부패를 막는 온도를 유지하는 안치실과

시신을 정돈하고 깨끗한 모습으로 가꾸는 입관실 사용은 필수인데요.

입관실과 안치실은 무빈소 장례로 진행하셔도 꼭 사용하셔야 합니다.

 

시신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냉장 시설 사용료, 소독 및 매몰 작업 비용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줄일 수 없는 필수 비용 중 하나인데요.

 

특히나 자녀나 유족들이 해외에 있다는 등

장례를 바로 치르지 못해서 시신을 안치해야 하는 기간이 길어지는 상황이라면

이 부분에서 비용이 추가될 수도 있습니다.

 

 

빈소 이용료 외 추가되는 비용들

 

안치실과 입관실을 이용하게 되면

고인의 시신을 깨끗하고 고운 상태로 만들어주는 입관사가 필요합니다.

 

상조를 이용하시면 보통 상조회사에서 인력이 출동하여 따로 비용이 발생하지 않지만,

상조를 이용하지 않으신다면 관련 인력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고인의 몸을 닦아드리고 수의를 입힌 뒤 묶어드리는 염습의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폐기물들이 발생하곤 합니다.

상조를 이용할 경우 이런 것들을 처리하는 부분 역시 포함되어 상조 비용에서 처리가 되는데요.

 

간혹 이런 부분들을 제외하고 비용을 안내했다가 나중에 추가하는 경우도 종종 있으니

사전에 이런 부분들을 잘 알아보시거나,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관리되는 상조를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주식회사 보훈 | 박병곤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동중앙로 47, 제타워동 1712, 1713, 1714호(중동, 어반브릭스) | 사업자 등록번호 : 609-86-10987 | TEL : 055-1566-3585 | Mail : bohoon@bohoon.co.kr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19-창원의창-0086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